학습 인지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상태
인간은 기계도 아니고, 컴퓨터도 아니다. 인간은 생각을 하고 감정을 느끼는 동물이다. 따라서 학습에 대해 생각할 때 학생들의 심리상태를 무시하고 학습의 결과와 효과성을 논해서는 안 된다. 학생들의 학습 인지 과정에 심리 상태는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학생들의 학습 동기는 교실 상황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학습 동기는 학습 환경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강한 요인이다. 학습 동기는 학생들의 심리 상태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즉, 우리는 학생들의 심리 상태 유형을 인지하고, 학습 동기를 증진시키는 방법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학생들에게 교사는 많은 영향을 주는 존재이기 때문에, 교사는 학생들이 학습을 위해 적절한 심리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존재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교사가 이를 충분히 파악했을 때 올바른 방향으로 수업을 끌고 나갈 수 있고, 여러 측면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문을 통해 학생들의 대표적인 심리상태를 알아보자.
학습의 효과를 떨어뜨리는 높은 수준의 불안
불안은 불확실한 결과를 가져오는 것에 대한 불편한 감정과 걱정, 염려를 의미한다. 불안은 대부분 모호한 것에 대해 느끼는 경우가 많은데 미래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미래에 대한 불안을 느끼는 것이 동일한 맥락이다. 불안은 상태 불안과 특성 불안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태 불안이란 특정한 자극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일어나는 불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나의 경우 학창 시절에 영어 듣기에 자신감이 없었다. 그래서 매번 영어 듣기 시험을 치를 때 공부량과 상관없이 큰 불안감을 느꼈다. 아무리 많이 공부했어도 어떤 문제가 나올지 모르고, 한 순간 못 듣고 지나칠까 봐 항상 불안했다. 막상 시험이 끝나면 왜 그렇게까지 불안해했는지 의문점을 가질 때도 있었지만, 한번 생긴 불안은 수능시험까지 계속되었다. 이처럼 특정한 자극에 대해 큰 불안을 느끼는 것을 상태 불안이라고 한다. 반면에 특성 불안은 어떤 대상에 대해 만성적으로 느끼는 불안이다. 과목의 종류나 상황에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항상 느끼는 불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발표에 대해 두려움을 가진 학생들은 어떤 과목인지 상관없이 발표 상황이 다가오는 것에 대한 불안감을 느낀다. 시험이라는 상황 자체에 대해 불안을 느끼는 경우도 많다. 이런 것을 특성 불안이라고 한다. 학습에 있어 불안이 꼭 나쁜 것만은 아니다. 낮은 수준의 적절한 불안은 학생들의 학습을 촉진시키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높은 수준의 불안은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학습 인지 과정에도 많은 영향을 준다. 지나치게 높은 수준의 불안은 과제에 집중하는 것을 방해하고 학습의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높은 수준의 불안을 느끼는 학생들에게 적절한 대응을 제공하여 불안을 감소시켜주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학습에 대한 흥미
흥미는 내적 동기의 한 형태로 불안과 다르게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흥미는 일반적으로 개인적 흥미와 상황적 흥미로 구분된다. 개인적 흥미는 스포츠, 사물, 과목, 특정한 것에 대해 개인적으로 관심을 보이는 것을 의미하며, 일정한 패턴을 보인다. 개인적 흥미는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학생이 어떤 활동을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데 큰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나의 경우 어릴 때부터 수학 문제를 푸는 것을 좋아했다. 수학에 대한 높은 흥미로 인해 수학 공부에 할애하는 시간이 많았고, 전공 선택으로 이어졌다. 상황적 흥미는 새롭거나 독특한 것, 놀라운 것과 같은 어떤 상황에 의해 유발되는 것이다. 상황적 흥미는 학생들의 집중을 이끌어 내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재미 요소가 많이 들어간 수업은 학생들에게 흥미를 주고, 학생들의 집중도를 끌어올릴 수 있다. 흥미를 가진 사람은 그 주제에 대하여 인지적으로 보다 활발하게 참여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흥미를 가지고 학습한 내용은 그렇지 않은 것보다 더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게 해 주고, 높은 학업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우리는 학생들의 학습 흥미를 어떻게 이끌어낼 것인지 고민하고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행 단서의 역할 및 변별과 일반화 (0) | 2022.06.06 |
---|---|
교수 연구 패러다임의 종류 (0) | 2022.06.05 |
강화 계획의 두 종류: 비율 계획과 간격 계획 (0) | 2022.06.04 |
효과적인 교사의 역할과 자질 (0) | 2022.06.01 |
생활지도의 목적과 원리 (0) | 2022.05.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