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을 이끄는 선행 단서의 역할
우리는 행동을 할 때 앞서 일어난 일에 영향을 받을 때가 있다. 특히 우리를 둘러싼 다양한 사건들은 독립적으로 생겨난다기보다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며 나타나기 때문에 우리는 다양한 자극에서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우리는 특정 행동을 할 때 행동 이전에 발생한 어떠한 사건에 우리의 행동이 영향을 받는다면 그때 영향을 준 자극을 선행 단서라고 부른다. 이러한 자극을 단서라고 하는 이유는 우리가 어떤 행동을 하게 될 때, 그 행동 이전에 이미 일어난 자극을 통해 강화를 받을 것인지 벌을 받을 것인지 알게 되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미 상황에 적합한 행동이 무엇인지 알고 행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영화관에서 광고가 나올 때는 친구와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가도 영화가 시작되면 모두 조용해진다. 이는 어떠한 행동을 하기 전에 이미 선행 단서라는 자극을 받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선행 단서를 통해 우리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다. 교실 환경에서도 마찬가지다. 수업 시간에 학생들은 소란스럽게 굴지 않지만, 쉬는 시간이 되면 여기저기 돌아다니고 시끄럽게 이야기를 한다. 이는 많은 교사들이 겪는 평범한 일상 중 하나이다. 이렇듯 동일한 장소에서 다른 행동을 보이는 것은 이미 주어진 자극을 통해 상황에 대한 적절한 행동이 무엇인지 학생들이 알기 때문이다. 즉, 이미 학생들에게 선행 단서가 제공된 것이다.
여러 자극을 구분하는 변별의 원리
변별이란 서로 다른 자극을 구별하고 각각의 자극에 올바르게 행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선행 단서에 대한 원리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수업 시간에 수업의 종료를 알리는 종소리가 들려온다면 교사는 수업을 끝내고 아이들은 곧장 시끄러워진다. 그리고 수업 종소리가 울렸는데도 수업을 끝내지 않는 교사들의 행동을 비난하기도 한다. 아무리 학생들이 수업 시간에 집중했다고 해도 종소리라는 자극을 통해 쉬는 시간임을 인지하였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자극을 구별하고 행동하는 것을 변별이라고 한다. 학습에서의 변별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사실 학습의 상당 부분은 복잡한 자극들을 올바르게 변별하는 능력을 키우는 과정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각 단어의 철자나 의미, 수학 공식의 차이를 설명하고 이해하는 것도 학생들의 변별 능력에 따른 결과이다. 따라서 변별 능력의 향상은 학습의 효과성을 입증하는 한 개의 지표이기도 한다. 결국 교사는 학생들이 수준 높은 변별 능력을 기르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몇 가지를 주의해야 한다. 먼저 틀린 답을 말한 학생에게 아무런 피드백을 주지 않는 행동을 지양해야 한다. 학생들의 변별 능력 향상을 위해 정답이 아닌 행동에도 반드시 피드백을 주어야 한다. 그리고 교사는 학생들에게 어떠한 행동이 강화를 받게 될 것인지 직접적으로 알려 주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어떤 행동이 올바른 행동인지 판단할 수 있게 되고, 학생들의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
나비 효과처럼 퍼지는 일반화의 원리
일반화란 한 상황에서 학습된 행동이 다른 상황에서의 행동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중간고사 시간에 1교시인 국어 시험에서 너무 긴장한 나머지 실수를 많이 한 학생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그 학생은 시험이 끝난 후 자신의 실수들을 깨닫고 자신감을 잃게 된다. 그리고 유사한 과목에 대해서도 자신감을 잃게 되고, 결국 이어지는 영어 시험에서도 실수를 반복하게 된다. 또 다른 예는 1교시 수업에 높은 집중을 보인 학생은 이어지는 수업에도 높은 집중력을 보여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하는 것 역시 행동을 일반화한 것이다. 학교에서 선생님의 말을 잘 듣는 학생이 집에서도 부모님의 말씀을 잘 들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도 일반화의 예이다. 이처럼 학생들을 둘러싼 환경에서 일반화는 빈번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지나친 일반화는 학생들의 능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따라서 일반화가 적절하게 사용되었는지 비판적인 태도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나의 경우에도 학창 시절에 수학 시험을 망친 날에는 비슷한 과목인 물리나 경제 시험에서도 유독 많이 긴장했다. 지나치게 일반화를 사용한 케이스라고 설명할 수 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 방법의 개념과 유형 (0) | 2022.06.06 |
---|---|
개인 지능 검사와 집단 지능 검사 (0) | 2022.06.06 |
교수 연구 패러다임의 종류 (0) | 2022.06.05 |
학습 인지 과정에 영향을 주는 불안과 흥미 (0) | 2022.06.05 |
강화 계획의 두 종류: 비율 계획과 간격 계획 (0) | 2022.06.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