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하이브리드 러닝의 개념과 특징

by 프레젠트. 2022. 5. 26.
반응형

하이브리드 러닝의 개념

왜 하이브리드 러닝인가

하이브리드라는 단어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하이브리드는 두 가지 기능이나 역할이 하나로 합쳐진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기름과 전기를 동력으로 움직이는 자동차를 말한다. 하이브리드 러닝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수업이 합쳐진 것을 의미한다. 온라인 러닝과 오프라인 러닝이 하나로 합쳐진 환경에서의 수업을 의미하는 블랜디드 러닝이라는 단어와 혼용하여 사용한다. 최근 IT 기술의 발달로 온오프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융합의 시대로 넘어가고 있다. 전통적인 수업 방식은 오프라인 중심으로 교과서를 통해 수업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필요에 따라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오프라인 러닝뿐만 아니라 온라인 러닝도 활성화되었다. 더욱이 코로나 시대를 지나면서 온라인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방식은 더욱 활성화되었다. 하이브리드 러닝을 하는 학습자를 상상해보자. 그들은 PC를 활용해서 학습을 하는데 컴퓨터 자체에 대한 학습을 할 수도 있고, 유튜버 등을 학습에 활용할 수도 있다. 하이브리드 러닝에서 중요한 개념은 다양한 IT 학습도구를 통해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온라인 러닝을 통해 시간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학습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 방식에 대해 스마트 러닝, 이러닝, 블랜디드 러닝, 모바일 러닝 등 다양한 용어를 활용하지만 두 가지 기능과 역할을 합쳤다는 관점에서 하이브리드 러닝이라는 단어가 가정 적절하다고 평가받는다.

 

 

코로나 시대에 대중화된 원격 수업

온오프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다양한 형태의 수업이 등장하였다. 그중 대표적인 수업 형태는 원격 수업이다. 특히 코로나 19 바이러스가 장기간 유행하면서 비대면 수업이 활성화되고 많은 학교에서는 원격 수업을 진행하였다. 원격 수업이란 교수자와 학습자가 직접 대면하지 않고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이 이뤄지는 것을 의미한다. 시간과 장소가 서로 다른 학습자에게 대면 교육을 할 수 없는 경우, 교사와 학습자는 매체를 통해 상호작용을 하고 학습자료와 결과를 교환할 수 있다. 원격 수업은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든지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또한 교사와 학생의 격리가 그들 사이의 단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도 흥미롭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코로나19 대유행으로 많은 학교에서 원격 수업을 진행하였는데 전통적인 교실 수업과 동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다만 원격 수업은 교사의 시야를 벗어난 곳에 학생이 있다 보니 학습자는 언제, 어디서, 어떻게 학습을 할지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 즉, 학습자의 책임감이 중요하다. 또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과제 활동, 각종 피드백, 상담 등 진행할 수 있고, 적극적인 학습 분위기를 이끌어가기 위한 교사의 노력이 필요하다.

 

 

하이브리드 러닝의 특징

하이브리드 러닝은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첫 번째로 지속성이다. 하이브리드 러닝은 단 한 번의 이벤트가 아니라 지속적인 과정이라는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 교육 방식과 온오프 통합 교육 방식을 연계하여 지속적인 수업을 제공해야 한다. 두 번째는 학습 공간과 기회가 확대된다는 것이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 환경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수업이 설계되므로 시간과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는 수업 설계가 가능하다. 따라서 학습자는 언제 어디서든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다. 세 번째는 교육의 효과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교과서로 한정된 과거의 수업 방식과 달리 다양한 학습 매체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에 맞게 적절히 조회시켜 수업을 설계할 수 있다. 네 번째는 수업 개발 시간과 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다. 온라인 형태의 경우 개발 비용은 많이 들지만 실행에 드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오프라인의 경우 개발 비용은 적지만 실행에 드는 비용이 비교적 높다. 또한 오프라인의 경우 시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학습자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두 가지 환경의 장점을 적절히 활용하면 비용과 시간을 최적화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