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인간 발달의 개념과 주요 논쟁점

by 프레젠트. 2022. 5. 18.
반응형

인간 발달의 개념과 주요 논쟁점

인간에게 발달이란 무엇일까?

발달이라고 하면 흔히 긍정적인 변화 혹은 성장의 과정을 떠올린다. 발달을 상상했을 때 한 단계 성장하고, 한 걸음 나아간 이미지가 연상되기도 한다. 위 그림과 같이 새싹이 자라나는 모습도 떠올릴 수 있다. 이렇듯 발달은 성장과 변화를 의미하며 인간 발달에 대한 연구는 교육학,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오랜 시간 진행되었다. 발달심리학에서는 발달의 개념을 아동발달과 인간발달의 두 가지로 나눠 설명한다. 먼저 아동발달은 태아부터 사춘기까지 인간 성장을 이해하려는 것을 의미하고, 인간발달은 인간의 전 생애에 걸쳐 경험하는 모든 변화를 이해하려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성장하고 변화하는 존재이며 폭발적인 성장을 이루는 아동 및 청소년기에 집중하여 연구하느냐, 인간 전 생애를 탐구하느냐에 따라 학문의 세부 영역이 달라진다. 인간발달과 유사한 개념으로는 생애발달이 있는데, 생애발달이란 인간의 전 생애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연구한 학문이다. 사실 생애발달도 인간발달의 개념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렇듯 인간에게 발달은 필수적인 개념이고 과거에서부터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의 발달을 연구하고, 더 나아가 인간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노력했다.

 

 

유전인가, 환경인가

인간의 발달을 이야기할 때 유전과 환경에 대한 논의는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논제이다. 즉, 인간의 발달은 유전의 영향이 큰가, 환경의 영향이 큰가 하는 물음이다. 먼저 인간의 성장과 발달이 유전적으로 이미 결정되어 있다고 믿는 시각이 있다. 즉, 개인의 고유 특성들은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것이며 지능, 창의성, 성격 등에서 볼 수 있는 개인차 역시 유전자의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는 시각이다. 반면에 인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은 환경의 영향력이 더 크다고 믿는 시각이 있다. 즉, 개인차가 발생하는 이유는 살아온 환경이나 개인의 경험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관점이다. 최근에는 유전과 환경의 이분법적 시각에서 탈피하여 인간발달에는 두 요인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주장이 더 많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란성쌍둥이가 각자 입양되어 서로 다른 환경에서 자라났을 때 유전적 유사성은 존재하지만 많은 개인차를 보이는 사례가 있다. 또한 나의 경우 동일한 환경에서 자라났지만 한 살 터울의 동생과 다른 점이 많다. 특히 나는 수학 과목을 가장 좋아했고, 전공 선택까지 이어진 반면 동생은 수학 과목을 유독 싫어했고 소위 말하는 '수포자'였다. 이런 점을 봤을 때 환경이 비슷하거나 유전적 유사성이 있다고 해서 동일한 모습으로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연속적일까? 결정적 시기가 있을까?

발달에 대한 주요 논쟁은 연속성과 시기에 대한 물음이다. 인간발달의 질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입장에서는 인간발달은 각 단계로의 순차적인 변화를 통해 불연속적으로 이뤄진다고 주장한다. 즉, 인간은 일련의 순서에 맞게 발달하지만 그 속도가 일정하지 않으며 계속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발달이 정체되어 있는 시기도 있다고 보는 관점이다. 반면에 인간발달의 양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학자들은 인간의 발달은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통해 연속적으로 이뤄진다고 주장한다. 즉, 인간은 계속 성장하는 존재이며 연속적으로 발달이 이뤄진다는 것이다. 발달의 대한 논쟁 중 시기에 대한 논의도 뜨겁다. 즉, 인간 발달에 결정적 시기가 존재하는가에 대한 물음이다. 1960년대 이전에는 인간의 발달 과정에는 결정적 시기가 존재하며 이 시기가 지난 이후 변화는 힘들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1960년대 이후 학자들은 특정한 시기에 특정한 특성들이 형성되지만 이후 변화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최근에는 한번 형성되면 변화가 불가능하다고 믿는 의미를 내포하는 '결정적 시기'라는 용어보다 '민감기'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민감기는 어떤 특성이 일단 형성되면 지속성이 큰 특성으로 형성되는 시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어린 시절 구구단을 외웠던 내용이 몇십 년이 지나고 기억에 남아있는 것과 같다. 즉, 구구단을 외웠던 어린 시절이 민감기에 해당하는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