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인지 양식에 따른 개인차

by 프레젠트. 2022. 5. 17.
반응형

인지양식과 개인 차이

개인차를 설명하는 다양한 요소

개인차를 설명하는 변인은 다양하다. 키, 외모, 발 사이즈 등 외적인 차이도 있지만 지능, 창의성, 능력, 관심과 선호도 등 다양한 내적 요인도 있다. 이처럼 다양한 요소가 결합하여 한 명의 개인을 만든다. 따라서 학생 개인별 학습 능력, 속도, 선호 과목 등의 차이는 여러 가지 변인들의 차이로 발생한다. 이렇게 개인차를 설명할 수 있는 대표적인 변인 중 하나는 인지 양식(cognitive style)이다. 인지 양식이란 개인이 정보를 습득하고 처리하여 문제를 해결할 때 사용하는 전략의 독특하고 습관적인 양식을 의미한다. 즉, A와 B가 같은 문제 상황에 놓여도 문제 해결을 위해 선호하는 전략이 다르다면 해결 과정에 차이가 발생하고 궁극적으로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인지 양식은 문제 해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소는 아니지만 특정 문제를 해결할 때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지와 밀접하게 연관되기 때문에 결과의 질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교사는 아이들의 개인차를 인정하고 개개인이 어떤 인지 양식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학생들에게 문제 상황이 닥쳤을 때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개별 인지 양식에 맞춰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다음 문단에서는 몇 가지 대표적인 인지 양식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나무인가 숲인가: 장의존과 장독립

장의존성과 장독립성 인지 양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장의존성 인지 양식은 장(Field)에 의존적인 특징을 가진 사람들이다. 장의존적 인지 양식을 가진 사람들은 사물을 지각할 때 장(Field)에 의해 영향을 받고 전체적인 특징을 지각한다. 즉, 장의존적인 사람들은 나무보다 숲을 보는 유형이다. 이런 사람들은 상황 속에서 한 측면에 집중하거나, 세부적인 사항을 변별해 내는 것을 어려워한다. 또한 외부의 비판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외부에서 설정한 목표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비구조화된 정보를 조직화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하지만 장의존적인 사람들은 사회적인 정보를 더 잘 기억하고 사회적인 정보를 빠르게 학습한다. 다음으로 장독립성 인지 양식은 장에 독립적인 특징을 가진 사람들이다. 장독립적 인지 양식을 가진 사람들은 배경에 관계없이 정보를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지각한다. 즉, 장독립적인 사람들은 숲보다 나무를 보는 유형으로 정보 처리 과정에서 독립적인 부분을 통합하거나 구성 요인을 세부적으로 분석하는 데 능력을 가지고 있다. 장독립적인 사람들은 자기 지향성이 강해 스스로의 성취동기가 강한 편이며 외부의 분위기나 비판에 잘 흔들리지 않는다. 구조화와 분석을 잘하지만 사회적인 정보를 습득하는 데 외부에 도움을 필요로 한다.

 

 

속도와 꼼꼼함: 충동성과 사려성

다음으로 충동성과 사려성의 차이이다. 먼저 충동성 인지 양식을 가진 사람들은 문제를 해결할 때 생각나는 대로 단순하게 답하려는 경향이 크다. 충동성의 사람들은 문제를 빠르게 처리하는 장점이 있지만 처리 과정에서 많은 실수를 하며, 모든 대안을 탐색하지 않기 때문에 최선의 선택을 하기 힘들다. 꼼꼼하지 못한 편이고 집중력이 낮지만 결단력이 있다고 인정받을 수 있고, 창의적인 문제를 잘 풀어내는 편이다. 반면에 사려성 인지 양식을 가진 사람들은 문제를 해결할 때 여러 대안을 탐색하고 검토하여 적절한 답을 구하려는 경향이 크다. 따라서 정보 처리 속도는 느리지만 과제 수행 시 실수가 적고 더 좋은 대안을 찾을 가능성이 크다. 세심하고 집중력이 좋은 편이며 추론이나 논리적 과제에 강한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빠른 결정이 필요할 때 우유부단하다는 아쉬운 점이 있다. 많은 사람들은 나이가 들면서 사려성이 증가하는 편이며, 어린아이들일수록 충동성이 강하다. 또한 내향적인 사람은 대체로 사려성이 크고, 외향적인 사람은 충동성이 크다. 사려성이 큰 학생들을 가르칠 때는 어려운 문제는 건너뛰어 시간 내 과제를 완성할 수 있는 습관을 길러주어야 하며, 충동성이 큰 학생들을 교육할 때는 답을 구하기 전에 신중하게 생각해보는 연습을 도와주어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