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스마트 교육과 거꾸로 학습 방법

by 프레젠트. 2022. 5. 15.
반응형

스마트 교육과 거꾸로 학습

디지털 시대의 스마트 교육 방법

전통적인 수업 방식과 달리 최근에는 디지털 시대에 맞게 다양한 교육 방법과 교육 매체가 등장하고 있다. 스마트 교육이란 읽기, 쓰기, 말하기 역량을 중요하게 생각했던 과거의 교육과 달리 창의성, 인성, 협업능력,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하는 교육을 의미한다. 여기서 스마트(SMART)는 자기 주도적(Self-directed), 학습 흥미(Motivated), 수준과 적성(Adaptive), 풍부한 자료(Resource Enriched), 정보기술 활동(Technology Embedded)의 줄임말이다. 각 단어의 세부적인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자기 주도적 학습이란 교사 주도적인 학습 방식에서 벗어나 학생 스스로 학습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두 번째, 학습 흥미란 교과서 강의 위주의 수업에서 벗어나 다양한 콘텐츠와 학습 활동을 통해 학습에 대한 흥미와 동기부여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세 번째, 수준과 적성이란 획일화된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학생 개별의 수준과 적성을 고려하여 수업을 설계하는 것을 뜻한다. 네 번째, 풍부한 자료란 교과서 위주의 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디지털 콘텐츠나 온라인 수업 등 다양한 학습 매체를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다섯 번째, 정보기술 활동이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활용하여 교실을 벗어난 곳에서도 학습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스마트 교육 방식이 제안되고 나서 교육 내용, 평가 방식 등 다양한 교육적 측면에서 디지털화가 시도되었다. 그중 하나가 디지털 교과서 플랫폼 개발이다. 이처럼 스마트 교육 시대가 도래하면서 이제는 학교에서 교과서로 진행되던 교육의 형태가 많이 바뀌고 있다. 우리도 교사 혹은 예비 교사로서 디지털 시대에 발맞춰 다양한 변화를 이해하고, 시도해야 한다.

 

 

학습의 순서를 바꾸는 거꾸로 학습

거꾸로 학습 혹은 거꾸로 교실이라고 부르는 학습의 방식은 미국의 교사인 조나단 버그만에 의해 널리 알려진 수업 방식이다. 기존의 경우 학교에서 수업을 듣고, 집에서 과제를 하며 복습을 하는 형태로 수업이 진행되었다. 거꾸로 학습 방식은 기존의 순서를 바꾼 것을 말한다. 즉, 학생들은 학교에서 들어야 할 수업을 집에서 먼저 비디오나 자료를 통해 학습하고, 학교에서 교사의 지도 아래 다양한 심화 활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 방식의 경우 수업에 흥미를 가지지 못한 학생들이 집에서 숙제를 할 때 어려움을 느끼고 결국 포기해버리는 경우가 많았는데, 거꾸로 학습의 경우 복습이 아닌 예습 형태의 숙제가 주어지기 때문에 학습 흥미가 적은 학생들도 어렵지 않게 숙제를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거꾸로 학습 방법의 높은 효과성이 증명되었고,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이 학습법의 주의할 점은 학생들에게 주어지는 사전 과제가 부담스럽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다. 거꾸로 학습은 학생들의 자기 주도 학습 능력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능력이 발휘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전 과제는 종이의 형태보다 비디오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좋으며, 재생시간이 길지 않은 것이 좋다.

 

 

누구나 이용 가능한 온라인 강좌, 무크

최근에는 교실 환경 외에도 학습할 수 있는 다양한 플랫폼이 등장하였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이 무크(MOOC)이다. 무크는 대학의 강의를 웹 서비스 기반으로 대중에게 개방하는 온라인 강좌를 의미한다. 무크는 2011~2012년도에 미국의 주요 대학에서 오프라인 강의를 온라인으로 개방하면서 탄생하였다. 무크를 활용한 교육은 장소와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즉, 언제 어디서든 스마트폰이나 노트북만 있다면 학생들 스스로 학습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더욱이 무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소통 장치(토론 수업, 피드백, 과제, 평가 등)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하기 어렵다는 온라인 강좌의 한계도 극복 가능하다. 최근 비대면 수업이 더욱 활발해지면서 이러한 온라인 기반의 교육 매체가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온라인 기반으로 정보의 양에 대한 제한이 없어 수업 콘텐츠가 다양하고 풍부하다. 따라서 학생의 도전 의지에 따라 학습 성취의 많은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