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타일러의 합리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

by 프레젠트. 2022. 5. 13.
반응형

타일러의 합리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

합리적 교육과정 모형의 네 가지 문제의식

교수 활동이란 교사가 학생들을 가르치는 과정을 말한다. 과거의 교수 활동은 교사가 학생에게 지식을 알려주는 일방향의 수업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학생들은 배운 지식을 이해하고 암기하여 1년에 4번 정도 진행되는 평가를 치르고, 이를 통해 교사들은 학생들의 성취 수준을 파악하였다. 하지만 효율적인 교수 방식과 교육 과정에 대한 학자들의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과거의 방식은 비판을 받았고, 다양한 형태의 교수 설계 방식이 등장하였다. 타일러도 교수 설계 방식을 제안한 학자 중 한 명으로 교육과정 개발 단계에서 합리적인 절차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교육 과정의 개발과 교수 설계 작업 시 고민해야 할 4가지 문제의식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 학교가 수업 과정을 통해 반드시 추구해야만 하는 교육 목표는 무엇인가? 두 번째,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학교가 학생들에게 어떤 교육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가? 세 번째, 교육적 경험은 어떻게 효과적으로 계획되고 조직할 수 있는가? 네 번째, 학교가 설정한 교육 목표를 잘 달성되고 있는지 어떻게 판단할 수 있는가? 타일러는 네 가지 문제에 대한 답을 찾은 교육 과정이 잘 설계된 과정이라고 말했다. 또한 잘 설계된 교육 과정을 위해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제안하였는데 이를 타일러의 합리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이라고 한다. 그의 모형은 교육 목표 설정, 학습 경험 선정, 학습 경험 조직, 학습 성과 평가의 4단계로 나뉜다.

 

 

교육 목표 설정과 학습 경험 선정하기

타일러가 제안한 합리적 교육과정 모형의 첫 번째 단계는 적절한 교육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그는 교육 목표를 설정할 때 과역 가르칠 가치가 있는 적절한 목표인지, 학습 가능한 수준의 목표인지 따져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학습 목표는 수업의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해주기 때문에 중요하다. 실제 수업 현장에서는 다양한 변수로 인해 교사가 계획한 수업과 다르게 흘러갈 가능성이 크다. 이때 미리 설정해 둔 학습 목표는 잃어버린 수업의 방향성을 잡아주는 길잡이 역할을 한다. 또한 수업 서두에 구체적이고 성취 가능한 학습 목표를 제시한다면 학생들에게 학습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타일러 모형의 두 번째 단계는 적절한 학습 경험을 선정하는 것이다. 이전 단계에서 설정한 학습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학습 경험을 선정해야 한다. 적절한 학습 경험은 학생들의 사고력을 발달시킬 수도 있고, 지식이나 정보를 습득하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 또한 학생들의 적성이나 흥미를 찾는데 도움이 되거나, 사회적으로 올바를 태도를 함양하도록 안내하기도 한다. 교육 과정 설계 시 학습 경험을 선정할 때는 몇 가지 주의해야 한다. 먼저 학생들이 실제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반드시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의 수준을 파악하여 달성 가능한 경험이어야 한다. 세 번째는 학생들이 학습 경험을 통해 만족할 수 있어야 한다. 네 번째는 하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경험을 하거나, 하나의 경험이 여러 목표를 달성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 간의 협동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학습 경험 조직과 학습 성과 평가하기 

타일러의 합리적 교육과정 설계 모형의 세 번째 단계는 학습 경험을 조직하는 것이다. 이전 단계인 학습 경험 선정 단계에서 학습 목표에 적합한 몇 가지의 학습 경험을 선정했다면 적절한 순서로 정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 경험을 조직할 때 세 가지의 기준을 따라야 한다. 첫 번째는 '계속성'으로 교육과정의 핵심 내용이 반복되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는 '계열성'이다. 계속성의 기준에 따라 반복되어야 하나 동일 내용이 단순하게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경험 수준과 범위가 깊어지고 넓어지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은 '통합성'으로 교육과정의 핵심적 요소가 여러 교과에서 다뤄지는 것을 말한다. 타일러의 교수설계 모형에서 마지막 단계는 학습 성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교육 목표가 어느 정도 실현되었는지 파악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평가는 두 가지 방법으로 진행 가능하다. 먼저 교육이 끝나고 난 뒤 학생의 성취 수준을 평가하여 교육 목표의 달성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평가를 최소 두 번 이상 진행하는 것이다. 수업 시작 전 평가를 진행하고, 수업 이후 진행하여 두 결과를 비교하여 성취 수준을 파악한다. 두 가지 평가 방법 모두 학생들의 성취 정도를 평가하여 학습 목표의 달성 수준을 파악한다.

네 가지 순서에 따라 교수 방식을 설계한다면 타일러가 주장하는 합리적인 교육 과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교사 혹은 예비 교사로서 우리 모두는 교수 방식 설계에 대한 꾸준한 연습이 필요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