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역적 방식을 강조한 교수 이론
교수란 무엇인가? 가르치는 행위와 관련하여 흔히 교수라는 용어와 수업이라는 용어를 혼용하고 있다. 하지만 교수와 수업은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 교수란 학습자가 학습할 수 있도록 개인을 둘러싼 환경을 조작하는 과정이며, 수업이란 학습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학습자의 내외적 조건을 체계적으로 조정하는 과정을 말한다. 즉, 교수란 학습자의 환경을 조작하고, 수업은 학습자의 내외적 조건을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오수벨의 교수이론은 교수 방법을 정리한 대표적인 이론 중 하나이다. 그의 이론은 브루너의 이론과 대조된다. 브루너는 구체적인 정보에서 일반적인 원리를 이해하는 귀납적 추론 방식의 교수 활동의 중요성을 주장하는 반면 오수벨은 원리와 규칙을 이해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배우는 연역적 방식을 주장하였다. 따라서 오수벨은 교사가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에 관심을 가졌고, 기계적인 학습이 아닌 유의미한 학습을 강조하였다.
유의미 학습과 선행 학습자의 개념
오수벨은 언어 정보 혹은 관념 사이의 연관성이나 결합을 통해 유의미 학습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학습자의 인지 구조와 새로운 학습 과제는 관련성이 있다고 말한다. 여기서 인지구조란 학습자가 지닌 조직화된 개념이나 관념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즉, 새로운 학습이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포섭될 수 있는 관련성이 있다면 학습은 촉진되고, 새로운 지식을 포섭하여 지식의 폭을 넓혀갈 수 있다. 따라서 새롭게 학습하는 내용이 기존의 지식과 논리적인 관련성을 가질 때 오수벨이 말하는 유의미 학습이 일어나는 것이다. 학습자의 인지구조와 학습 과제가 연관성을 가질 때, 그 학습과제는 논리적 유의미를 가진다고 말한다. 논리적 유의미를 가진 과제는 인지구조와 관련 있는 지식과 관계를 맺을 때 비로소 의미 있는 학습이 이뤄진다. 하지만 학습과제가 잠재적 유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해도 학습자가 학습 태세를 갖추고 있지 않으면 유의미 학습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학습자가 이러한 학습 태세를 갖추었을 때 비로소 의미 있는 학습이 이루어진다. 선행 조직자란 추상성, 일반성, 포괄성의 정도가 높은 자료를 새로운 학습자료 앞에 제시하는 것을 말한다. 선행 조직자는 새로운 정보를 인지구조 내 포함시키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 선행 조직자는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정보와 새로운 학습 내용을 연결해주는 역할이며, 유의미 학습이 일어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오수벨은 선행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선행학습의 부족은 새로운 지식을 의미 있게 학습하는 데 필요한 지식이 없음을 의미한다. 선행 조직자는 학습의 주체인 학생에 의해 그 의미가 이해되었을 때 효과성이 증가하며, 구체적이고 적절한 선행 조직자의 제시는 학습자가 중요한 개념의 관계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연역적 3단계 교수 모델
오수벨의 교수 이론은 3단계의 연역적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교수 모형에서 교사는 학습자가 새로운 자료와 이전의 정보를 구별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학습 자료와 조직자를 관련시켜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학습자는 기존 인지구조를 이해하고 주어진 학습 자료를 기존 인지구조와 관련지어 제시할 줄 알아야 한다. 이때 새로운 지식과 기존 지식이 연관을 맺도록 하는 선행 조직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학습자는 비판적이고 능동적인 자세로 새로운 지식을 기존 지식과 통합하고자 노력해야 하며, 교사는 적절한 자료 제시를 해야 한다. 그리고 학생들은 새로운 내용을 학습하려면 이전에 가지고 있던 지식과 새로운 학습 자료의 유사뿐만 아니라 차이 점도 스스로 깨달아야 한다. 따라서 교사는 학습 자료에 관한 유사하거나 다른 정보를 제시하거나 질문함으로써 학생들의 이해를 도와야 한다. 즉, 교사는 학습자가 (1) 새로운 학습 자료의 의미를 명료화하고, (2) 기존의 지식과 새로운 지식을 조화시키며 (3) 새로운 자료가 학습자에게 적합한 지식이 되도록 하고, (4) 지식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증진시키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 [상담이론] 아들러(Adler)의 개인 심리상담, 로저스(Rogers)의 내담자 중심 상담, 펄스(Perls)의 형태주의 상담 (0) | 2022.03.29 |
---|---|
#16. [지능이론] 길포드(Guilford)의 지능 구조 모형,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스턴버그(Stemberg)의 삼원지능이론 (0) | 2022.03.28 |
#15. [지능이론] 스피어만(Spearman)의 g요인설, 써스톤(Thurstone)의 기본 정신 능력(PMA이론) (0) | 2022.03.27 |
학습 위계 이론을 통한 단계적 학습 (0) | 2022.03.24 |
교수 설계 이론과 수업 모형 (0) | 2022.03.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