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49

딕과 케리(Dick & Carey)의 교수설계 이론 체계적 교수설계 모형의 최고를 노린다. 딕과 케리(Dick & Carey)의 교수설계 모형은 대표적인 체계적 교수설계 모형이다. 모두 10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사, 학생, 교수자료, 학습환경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한다. 이 모형은 교수를 통해 학습자의 발전을 이끌어내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학습과정에서 학습자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초점을 맞춰 수업을 설계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 방식을 제안한다. 또한 이 모형은 여러 차례 반복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교수 설계 과정이 10단계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몇 단계를 생략하거나 통합하는 경우가 있는데 질 높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선 한 단계라도 건너뛴다면 그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이 모형을 토대로 교수 방식을 설계한다면 교수.. 2022. 5. 19.
인간 발달의 개념과 주요 논쟁점 인간에게 발달이란 무엇일까? 발달이라고 하면 흔히 긍정적인 변화 혹은 성장의 과정을 떠올린다. 발달을 상상했을 때 한 단계 성장하고, 한 걸음 나아간 이미지가 연상되기도 한다. 위 그림과 같이 새싹이 자라나는 모습도 떠올릴 수 있다. 이렇듯 발달은 성장과 변화를 의미하며 인간 발달에 대한 연구는 교육학,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오랜 시간 진행되었다. 발달심리학에서는 발달의 개념을 아동발달과 인간발달의 두 가지로 나눠 설명한다. 먼저 아동발달은 태아부터 사춘기까지 인간 성장을 이해하려는 것을 의미하고, 인간발달은 인간의 전 생애에 걸쳐 경험하는 모든 변화를 이해하려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성장하고 변화하는 존재이며 폭발적인 성장을 이루는 아동 및 청소년기에 집중하여 연구하느냐, .. 2022. 5. 18.
인지 양식에 따른 개인차 개인차를 설명하는 다양한 요소 개인차를 설명하는 변인은 다양하다. 키, 외모, 발 사이즈 등 외적인 차이도 있지만 지능, 창의성, 능력, 관심과 선호도 등 다양한 내적 요인도 있다. 이처럼 다양한 요소가 결합하여 한 명의 개인을 만든다. 따라서 학생 개인별 학습 능력, 속도, 선호 과목 등의 차이는 여러 가지 변인들의 차이로 발생한다. 이렇게 개인차를 설명할 수 있는 대표적인 변인 중 하나는 인지 양식(cognitive style)이다. 인지 양식이란 개인이 정보를 습득하고 처리하여 문제를 해결할 때 사용하는 전략의 독특하고 습관적인 양식을 의미한다. 즉, A와 B가 같은 문제 상황에 놓여도 문제 해결을 위해 선호하는 전략이 다르다면 해결 과정에 차이가 발생하고 궁극적으로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인.. 2022. 5. 17.
스마트 교육과 거꾸로 학습 방법 디지털 시대의 스마트 교육 방법 전통적인 수업 방식과 달리 최근에는 디지털 시대에 맞게 다양한 교육 방법과 교육 매체가 등장하고 있다. 스마트 교육이란 읽기, 쓰기, 말하기 역량을 중요하게 생각했던 과거의 교육과 달리 창의성, 인성, 협업능력,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하는 교육을 의미한다. 여기서 스마트(SMART)는 자기 주도적(Self-directed), 학습 흥미(Motivated), 수준과 적성(Adaptive), 풍부한 자료(Resource Enriched), 정보기술 활동(Technology Embedded)의 줄임말이다. 각 단어의 세부적인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자기 주도적 학습이란 교사 주도적인 학습 방식에서 벗어나 학생 스스로 학습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두 번.. 2022.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