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습이론2 [학습이론] 인지주의 학습이론과 형태주의 심리학 인지 능력을 해석하는 인지주의 학습이론 1930년대에는 행동주의 학습 이론가들의 왕성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1950년대 이후 행동주의 학습이론을 비판하며 인지주의 학습이론이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행동주의 학습 이론가들은 학습자의 외부 환경 조건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조건(자극)과 행동(반응)의 연관성을 찾고자 노력했다. 반면에 인지주의 학습 이론가들은 인간 내부에서 일어나는 인지적 과정을 강조하고 분석하였다. 형태주의 심리학은 인지주의 이론의 대표적인 이론이다. 형태주의 심리학에서는 인간이 정보를 받아들이는 과정과 그것이 학습되고 기억되는 과정에 관심을 두었다. 형태주의 심리학자들은 '인간은 감각기관을 통해 들어오는 정보를 어떻게 인지하고 해석하는가?'라는 문제에 초점을 맞췄다. 즉, 그들은 문제 .. 2022. 4. 23. [학습이론]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사회의 영향에 주목한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조건화 이론은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대표적인 이론이다. 자극과 반응의 연합으로 조건화를 설명한 파블로브의 고전적 조건화 이론과 행동의 결과로 조건화를 설명한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이론이 대표적이다. 조건화 이론은 학습 과정을 설명하는 데 매우 유효하지만, 모든 학습 과정을 조건화의 논리로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다. 사회적 존재인 인간은 사회적 상황과 주변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여 제시된 이론이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이다. 반두라는 조건화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의 영향에 주목하며 학습 과정에 대한 시각을 보다 확장시켰다. 그는 기존 행동주의 이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겉으로 표출된 행동만이 학습 결과가 아님을 강조했다.. 2022. 4.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