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구조모형1 #16. [지능이론] 길포드(Guilford)의 지능 구조 모형,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스턴버그(Stemberg)의 삼원지능이론 길포드의 지능 구조 모형 지능은 학습자의 능력을 측정하는 기준 중 하나로 인식되어 왔다. 가령 똑같은 수업을 받고도 이해 속도에 차이가 생기거나 학습자에 따라 적은 노력을 들이고도 특정 과목에 우수한 성적을 받는 이유에 대해 다른 학습자에 비해 더 큰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즉, 학습 결과의 차이는 학습자 지능의 차이로 설명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지능은 학자에 따라 다양한 정의와 본질을 지녀왔다. 추상적 사고능력, 적응 방법을 학습하는 능력, 지식의 양과 지식의 습득 능력, 경험에 의한 학습 능력 등 학자들에 따라 다양하게 지능을 정의하였다. 또한 지능의 구성 요인을 연구하는 지능 이론들이 대두되었다. 초기에는 교육 심리학자들에 의해 주로 제안되었으나 추후 심리학, 생물학 등 다양한.. 2022. 3. 28. 이전 1 다음